[1] |
褚宏启. 英才教育的争议分析与政与策建构:我国英才教育的转型升级[J]. 教育研究, 2022, 43(12):113-129.
|
[2] |
杨岚, 刘争先. 历史制度主义视角下俄罗斯英才教育制度的演进研究[J]. 外国教育研究, 2021, 48(11):79-95.
|
[3] |
中共中央关于进一步全面深化改革推进中国式现代化的决定[N]. 人民日报, 2024-07-22(1).
|
[4] |
褚宏启. 中国该不该大力发展英才教育?[J]. 中小学管理, 2022(9):61.
|
[5] |
JEAN W. Equality versus excellence:The South Korean dilemma in gifted education[J]. Roeper review, 1992, 14(4): 212-217.
|
[6] |
우희진. 영재교육은 소수의 특권을 위한 엘리트주의인가?:예비 초등교사, 영재교육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[J]. 영 재교육연구, 2023, 33(1): 55-68.
|
[7] |
[10] SUCHMAN M C. Managing legitimacy:strateg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[J].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, 1995, 20(3): 571-610.
|
[8] |
KATZIR S, PERRY-HAZAN L. Discourse, legitimacy, and bottom-to-bottom change: haredi activism to promote secular education in New York Hasidic Schools[J]. Journal of education policy, 2023, 38(1): 141-165.
|
[9] |
AYLING J. A Contest for legitimacy:the divestment movement and the fossil fuel industry[J]. Law and policy, 2017, 39(4): 349-371.
|
[11] |
[21] 박경진, 외.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언론동향 분석[J]. 영 재교육연구, 2017, 27(3): 387-403.
|
[12] |
[19][32]교육부 영재교육 진흥법[EB/OL]. (2017-12-19) [2024-08-16]. https://www.law.go.kr/lsInfoP.do?lsiSeq=199748&efYd=20171219#0000.
|
[13] |
[25][45] 付艳萍, 张晓阳. 何谓英才,谁的教育,如何教育:美国英才教育发展中的三大论争[J]. 全球教育展望, 2023, 52(1):118-128.
|
[14] |
[22] 陆一, 马莹. 天赋、教育与国家:美国英才教育正当性争议[J]. 高等教育研究, 2022, 43(11):69-86.
|
[15] |
박현진, 외. 한국 영재교육 연구 40 년 (1980-2019): 시기별• 유형별 • 주제별 양적 분석[J]. 교육학연구, 2021, 59(6): 185-213.
|
[16] |
양태연, 외.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영재교육 정책분석: 1 차-4 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중심으로[J]. 영 재교육연구, 2019, 29(2): 301-325.
|
[17] |
[30] 이정규. 우리나라 영재교육 40 년,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도전과 전환[J]. 영재와 영재교육, 2020, 19 (1): 5-24.
|
[18] |
최수진, 김나영. 인공지눙 시대 영재교육의 방향과 변화전략 탐색[J]. 교육문화연구, 2023, 29(5): 5-23.
|
[20] |
[29][37] 한국교육개발원. 2023 영재교육 통계 연보[R]. 한국교육개발원, 2023: 10, 10, 25.
|
[23] |
[33][42] 엄윤재, 이신동.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[J]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020, 20(7): 347-375.
|
[24] |
[27][31][34][35][38][39][40][41][43] 교육부.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(2023—2027)[R]. 교육부, 2023: 6,10-12,21-24,22-23,19-27,16,42,22-23,18-19,33-42.
|
[26] |
MEYER M S, PLUCKER J A. What’s in a name? Rethinking “gifted” to promote equity and excellence[J].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, 2022, 38(3): 366-372.
|
[28] |
김승진, 이지원. 영재학교 재학생의 영재학교 입학을 위한 사교육 경험 및 이에 대한 인식[J]. 영재교육연구, 2021, 31(1): 53-72.
|
[36] |
영재교육연구센터. 2013 영재교육 통계 연보[R]. 한국교육개발원, 2014: 25.
|
[44] |
朱永新. 教育改革与发展亟须关注的三个重要问题[J]. 教育研究, 2022, 43(3):20-24.
|
[46] |
王洪才, 孙佳鹏. 教育强国背景下拔尖创新人才培养的现实挑战与应对策略[J]. 现代教育管理, 2024(12):1-10.
|